나무를 품은 선비

나무를 품은 선비

  • 자 :강판권
  • 출판사 :위즈덤하우스
  • 출판년 :2017-06-30
  • 공급사 :(주)북큐브네트웍스 (2017-11-17)
  • 대출 0/5 예약 0 누적대출 2 추천 0
  • 지원단말기 :PC/스마트기기
  • 듣기기능(TTS)지원(모바일에서만 이용 가능)
  • 신고하기
  • 대출하기 미리보기 추천하기 찜하기

한 그루 나무에 깃든 조선시대 지식인의 삶과 철학



조선시대 성리학자의 삶이 서린 공간은 우리나라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지만, 널리 알려진 곳을 제외하고는 상당수가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져 있다. 저자 강판권 교수는 조선 선비들의 정신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헌뿐 아니라 그들이 살았던 현장에 직접 방문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들의 정신이 그들이 산 공간과 그 공간을 채우고 있는 나무에 녹아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조선 선비들이 살았던 성리학 관련 공간을 직접 찾고, 그 내용을 글과 사진으로 남겨놓았다. 몽골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심은 이건창 생가 앞 탱자나무를 통해 저자는 나라를 걱정한 이건창과 그의 할아버지 이시원의 모습을 떠올린다. 조임도가 자신의 보금자리 주변에 심은 소나무, 국화, 매화, 대나무 풍경을 보며 그만의 무릉도원을 상상해본다. 이러한 현장의 기록은 나무가 오래 전 죽은 줄 알았던 조선 지식인들을 우리 곁에 소환하는 매개가 되어준다는 것을 증명한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늘 자신이 사는 공간에 나무를 심어놓고, 손수 관찰하고, 공부했다. 그가 어떠한 삶을 추구하느냐에 따라 가까이하는 나무가 달랐다. 성리학자의 정신을 드러내기 위해 노력했던 조식은 만년에 선비정신을 상징하는 매실나무를 심었다. 중국의 화가 엄릉처럼 유유자적하며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하기를 바랐던 조덕린은 엄릉의 삶을 상징하는 오동나무를 소재로 시를 지었다. 파직당한 뒤 칩거하던 조성한은 ‘진정한 선비로 살아가겠다’는 의미로 집 앞에 회화나무 두 그루를 심고 집 이름도 쌍괴당이라 지었다. 이처럼 조선 선비들은 나무를 통해 인간의 선한 본성을 가꾸고 드러내려 노력했다. 이 책은 각각의 조선 지식인이 어떠한 나무를 자기수양의 대상으로 삼았는지 살펴본다.





나무가 이루어준 조선 성리학자와의 조우



조선시대 성리학자의 삶이 서린 공간은 우리나라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지만, 널리 알려진 곳을 제외하고는 상당수가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져 있다. 저자 강판권 교수는 조선 선비들의 정신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헌뿐 아니라 그들이 살았던 현장에 직접 방문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들의 정신이 그들이 산 공간과 그 공간을 채우고 있는 나무에 녹아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조선 선비들이 살았던 성리학 관련 공간을 직접 찾고, 그 내용을 글과 사진으로 남겨놓았다. 몽골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심은 이건창 생가 앞 탱자나무를 통해 저자는 나라를 걱정한 이건창과 그의 할아버지 이시원의 모습을 떠올린다. 조임도가 자신의 보금자리 주변에 심은 소나무, 국화, 매화, 대나무 풍경을 보며 그만의 무릉도원을 상상해본다. 이러한 현장의 기록은 나무가 오래 전 죽은 줄 알았던 조선 지식인들을 우리 곁에 소환하는 매개가 되어준다는 것을 증명한다.



나무에게 스스로를 다스리는 법을 배우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늘 자신이 사는 공간에 나무를 심어놓고, 손수 관찰하고, 공부했다. 그가 어떠한 삶을 추구하느냐에 따라 가까이하는 나무가 달랐다. 성리학자의 정신을 드러내기 위해 노력했던 조식은 만년에 선비정신을 상징하는 매실나무를 심었다. 중국의 화가 엄릉처럼 유유자적하며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하기를 바랐던 조덕린은 엄릉의 삶을 상징하는 오동나무를 소재로 시를 지었다. 파직당한 뒤 칩거하던 조성한은 ‘진정한 선비로 살아가겠다’는 의미로 집 앞에 회화나무 두 그루를 심고 집 이름도 쌍괴당이라 지었다. 이처럼 조선 선비들은 나무를 통해 인간의 선한 본성을 가꾸고 드러내려 노력했다. 이 책은 각각의 조선 지식인이 어떠한 나무를 자기수양의 대상으로 삼았는지 살펴본다.



나무에게 서로 사랑하는 법을 배우다



나무는 조선 선비들에게 자기수양만을 가르쳐주지 않았다. 타인을 사랑하고 그들과 함께하는 법 또한 알려주었다. 나무는 그들에게 부모를 향한 지극한 효심과 나라를 향한 변치 않는 단심丹心, 백성을 향한 애틋한 애민愛民의 정신을 심어주었다. 조선시대 최고의 식물전문가 강희안은 나무를 비롯한 식물로부터 관료로서 천하를 다스리는 통치수단을 배우려 했다. 조선을 대표하는 문장가 신흠은 자신의 공간에 박태기나무를 심어 형제간의 우애를 다졌다. 지식인의 표상으로 평가받는 김종직은 차나무로 차밭을 만들어 백성들의 세금 문제를 해결해 다도茶道의 정신을 실천했다. 이 책은 조선 선비들이 나무의 생태를 통해 어떻게 사랑의 가치를 구현했는지 살펴본다.



천년 동안 한곳에 살고 있는 나무는 분명 우리의 위대한 스승이다!



나무를 매개로 하는 성리학자와의 조우는 가슴을 설레게 하지만 늘 유쾌한 것은 아니다. 종종 방치되고 있는 옛 공간과 마주해야 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서해가 심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소호헌의 은행나무가 잘려 나간 모습, 조선 최고의 문장가 이건창의 무덤이 안내문 하나 없이 방치된 현장, 아파트 건설이 한창인 서유구의 생가터를 보여준다.



성리학 관련 공간과 나무는 역사 속 지식인들의 모습을 바로 볼 수 있는 중요한 역사적, 생태적 인문 현장이다. 조선 지식인들이 심은 나무와 그들이 살던 공간에 그들의 정신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러한 공간들이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시나브로 사라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공간에 대한 관심과 복원을 주장한다.
지원단말기

PC : Window 7 OS 이상

스마트기기 : IOS 8.0 이상, Android 4.1 이상
  (play store 또는 app store를 통해 이용 가능)

전용단말기 : B-815, B-612만 지원 됩니다.
★찜 하기를 선택하면 ‘찜 한 도서’ 목록만 추려서 볼 수 있습니다.